최근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논의가 많아지면서 연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민연금만으로는 원하는 수준의 노후생활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많아서인지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연금 상품 운용에 관심이 크지 않아서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퇴직연금 사전지정운용제도인 ‘디폴트옵션’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디폴트옵션 운용방법 중의 하나로 Target Date Fund의 줄임말인 TDF가 주목받고 있는데, 오늘은 TDF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제도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보통 국민연금 외에 퇴직연금 가입을 의무적으로 하게 됩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연금 상품 운용에 관심이 없다 보니 방치되는 경우가 많
bitanote.tistory.com
TDF의 정의
TDF는 Target Date Fund의 약자로 투자자의 생애주기에 따라 포트폴리오의 자산을 알아서 관리해 주는 자산배분 펀드입니다. TDF는 연금투자가 활성화된 금융선진국 미국에서 2000년대 이후 가장 각광받는 은퇴준비 상품이기도 합니다.
TDF의 프로그램은 투자자가 젊을수록 성장자산의 비중을 높여 자산증식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은퇴시점이 가까울수록 안전자산 비중을 늘려 수익을 확보하면서도 노후자산을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 자산배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TDF 상품명 끝에 붙는 연도는 가입자가 목표로 하는 은퇴 시점을 나타냅니다. 연도가 먼 미래면 주식 비중을 늘려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가까우면 채권 등 안전자산 비중을 높여서 안정적으로 투자하게 됩니다.
TDF의 장점
1. 은퇴시점에 맞춘 글로벌 자산배분
투자자가 젊을수록 성장자산의 비중을 높여 자산증식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은퇴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안전자산 비중을 늘려 수익을 확보하면서도 노후자산을 안정적으로 마련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자산배분합니다. 또한 TDF 상품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TDF 상품이 글로벌 주식과 채권에 자산배분 투자를 진행하여 안정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퇴직연금의 주식투자 비중 확대 가능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퇴직연금 계좌는 위험자산에 적립금의 70%까지만 투자할 수 있고 30%는 반드시 비위험 자산에 투자해야 합니다. 은퇴 후 노후생활에 사용될 자금이라 투자에 안전장치를 걸어놓은 것입니다. 위험자산이란 원금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상품을 말하며 주식비중의 40%가 넘은 주식형 펀드 및 상장지수펀드(ETF), 하이일드채권형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등이 포함됩니다. 비위험 자산은 원금손실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품을 말하며, 예적금 및 주식비중이 40% 이하이면서 투자부적격 채권비중이 30% 이하인 채권형, 채권혼합형 펀드 및 ETF 등입니다.
TDF는 주식비중이 40%가 넘더라도 비위험자산으로 분류되어 퇴직연금에 100% 편입이 가능합니다. 주식비중이 일시적으로 80%까지 올라가더라도 추후에 위험비중을 조절하는 만큼 퇴진연금 전액을 투자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론적으로 주식형 펀드나 ETF에 한도치인 70% 까지 투자하고, 나머지 30%를 TDF에 투자한다면 적립금의 94%까지 주식에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모든 TDF가 비위험 자산으로 인정받지는 않으며, 아래 사항을 만족하는 적격 TDF여야 합니다.
- 투자목표시점이 설정일로 부터 5년 이상 남아 있을 것
- 주식비중이 40~80%
- 투자적격등급 외 채권비중이 전체투자자산의 20% (채권 중에서는 50%)를 넘지 않을 것
적격 TDF여부는 퇴직연금계좌를 만든 금융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TDF의 단점
1. 높은 운용수수료
대부분의 TDF가 해외펀드로 구성되어 만드는 재간접펀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운용수수료가 다소 높습니다. 퇴직연금의 특성상 장기투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높은 수수료가 수익률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2. 변동성
안전자산이 채권을 일정비중으로 편입하여 안정적인 운용을 추구하는 것이 TDF의 특징입니다. 하지만 금리가 급격하게 오른 2022년의 경우 주식과 채권의 수익률이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하여 TDF의 경우에도 손실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아래 이미지의 TDF2050 상품의 경우 최근 약간 회복하기는 했지만 3개월 수익률이 -0.68%, 6개월 수익률이 -3.24%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DF를 선택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TDF를 운용하는 증권사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TDF 선택하기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 출생연도에 60을 더해서 나에게 맞는 TDF를 선택 : 1980년 생의 경우 1980 + 60 → 2040 상품 선택
- 더한 값이 5 단위로 떨어지지 않을 때는 주식비중에 따라 개인이 선택 : 1978년생의 경우 2035와 2040 중 선택
이상으로 퇴직연금에서 운용가능한 TDF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많은 장점이 있는 상품이기는 하지만 변동성에 의한 위험도 있는 상품이니 만큼 상품에 대해 잘 이해하시고, 각자의 성향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및 재테크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우대저축과 비과세종합저축 소개 및 비교 (12) | 2023.03.10 |
---|---|
금융상품 비교공시 제도 활용하기 - 예금 적금 금리비교 (12) | 2023.03.03 |
2023년 연금저축 세제개편 정리 ( 연말정산 세액공제 확대 ) (14) | 2023.02.10 |
주식 대여 서비스 뜻과 신청방법, 해제방법 (키움) (10) | 2023.02.05 |
ISA 계좌 종류, 혜택 및 단점 정리 (15)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