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재테크/금융정보

세금우대저축과 비과세종합저축 소개 및 비교

by BITA 2023. 3. 10.
반응형

 

일반적으로 이자소득이 발생하면 15.4%의 이자 소득이 과세됩니다. 하지만 세금우대저축, 비과세종합저축 상품을 이용하면 예적금의 이자에 부과되는 이자세율을 낮추거나 줄일 수 있는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세금우대저축과 비과세종합저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가입방법 등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자소득세

 

이자소득세는 이자소득에 대해 붙는 세금을 말합니다. 현재 이자소득세율은 14%이며, 여기에 농특세 1.4%를 포함해 총 15.4%의 이자소득세를 부과합니다. 이자소득의 징수 대상이 되는 것은 예금의 이자 및 할인액뿐만 아니라 채권 및 증권의 이자 및 할인액, 저축성 보험의 보험차익등 대부분의 금융상품에 부과됩니다. 

 

만약 1,000,000원의 금액을 4%의 이자로 1년간 예금에 예치하면 40,000원의 세전이자가 발생하지만, 여기에 15.4%의 이자소득세를 과세하여 6,160원을 공제한 1,033,840원을 실수령하게 됩니다. 

이자소득세 계산

 

반응형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종합저축은 정기예금, 적금 이자에 대해 전혀 과세하지 않고 순수 이자금액을 모두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원금 5천만 원까지 저축 가능한 상품으로 특정한 은행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전체 금융기관을 통틀어 비과세 한도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비과세 종합저축의 가입대상과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상품특징

  •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2. 가입대상

  • 65세 이상인 거주자
  • 장애인복지법 제32조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등록한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 또는 가족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등록한 상이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자
  •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고엽제후유의증환자
  • 5·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른 5·18 민주화운동부상자

3. 비과세 혜택

  • 만기해지, 중도해지 이자지급 시 비과세

 

4. 저축한도

  • 1인당 저축원금을 기준으로 5천만 원, 세금우대종합저축 가입자는 5천만 원에서 세금우대저축 계약금액만큼 차감

 

세금우대저축

 

세금우대저축은 제2금융권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농협, 산림조합 등)에서 예적금 가입 후 만기 해지 시 일반과세가 아닌 3천만 원 한도 내에서 1.4%의 세금을 납부하고 나머지 이자를 모두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제2 금융권 전체를 통틀어 3천만 원 한도로 제한되며 기존에 22년 12월 31일로 시행일자가 정해졌었는데 최근 3년 정도 연장되었습니다. 

 

1. 상품특징

  • 이자소득에 대해 세율을 15.4%가 아닌 1.4%로 낮춰주는 제도
  • 가입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 2023년 5.9% 과세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저율과세 법안이 3년 연장되어 2025년 12월 31일까지 유지됨

 

2. 가입대상

  • 만 19세 이상 

 

3. 가입 가능 기관

  • 신협, 새마을금고, 농협, 수협등


4. 저축한도

  • 가능가능기관을 통틀어 3천만 원으로 가입한도가 제함 됨

 

상품 별 이자금액 비교

 

1천만 원을 4%의 이자를 주는 예금상품에 1년 동안 예치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년간 예치 시 발생하는 이자 400,000원에 대해 일반 예금상품의 경우 15.4%의 세율로 61,600원의 금액이 과세되는 반면, 비과세 종합저축은  0원, 세금우대저축은 5,600원의 이자과세가 발생합니다. 

 

상품 별 세금비교


오늘은 예적금 상품의 이자에 부과되는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세금우대저축과 비과세종합저축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베과세 종합저축은 일정 자격을 갖추어야 가입이 가능하지만, 세금우대 저축은 가입기관만 선택하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한 만큼 참고하셔서 조금이라도 더 높은 이자소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