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에서는 2월 22일에 국민 교통비 절감을 위해 알뜰교통카드의 지원혜택을 대폭 확대하고 사용가능한 카드사도 늘리는 알뜰교통가드 플러스 소식을 전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는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에 더해 추가 대중교통비 할인 및 기타 생활 서비스 할인 등 차별화된 혜택을 구성, 이용자들의 다양한 소비 패턴을 만족시킬 수 있을 전망입니다. 오늘은 혜택이 더욱 확대되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는 출발지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카드입니다. 2023년 2월 현재 기준, 전국 17개 시·도 및 173개 시·군·구에서 53만 명이 이용 중이며,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마일리지를 적립한 후 매월 환급을 받는 방식입니다. 대중교통비를 월 최대 약 1~4만 원 절감할 수 있으며,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까지(대중교통비의 약 10%, 월 최대 4만 원) 받을 수 있어 이용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2023년 1월부터 한 차례 청년 및 저소득층 혜택이 강화된 바 있는데 계층별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금액은 800미터 이상 이동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며, 800미터 미만으로 이동했을 때는 거리에 비례로 계산해 적용합니다. 월 최대 적립가능한 횟수는 44회입니다.
알뜰교통카드 지원혜택 강화 내용
1. 저소득층 지원액 확대 (23년 3월~)
23년 3월부터 저소득층의 마일리지 지원금액이 상향조정됩니다. 1회 교통요금 지원금이 2천 원 미만일 때는 500원 에서 700원으로, 3천 원 미만일 때는 700원에서 900원으로, 3천 원 이상일 때는 900원에서 1,100원으로 상향됩니다.
2. 적립 횟수 한도 상향 (23년 7월~)
적립한도를 늘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를 출시하여 지원혜택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마일리지 적립 횟수 상한을 월 44회에서 60회로 상향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월 1~4만 원이었던 절감액이 1.5~6.6만 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사용방법 간소화 (22년 2월 15일~)
최초 가입 시 주소지 검증 절차를 자동화하여 주민등록등본 등 서류를 직접 제출해야 했던 불편을 없애고, 출발·도착 버튼을 매번 누르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적립될 수 있도록 즐겨찾기 구간 설정 또는 도보 수 측정 방식을 도입하는 등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도 대폭 개선될 예정입니다.
4. 협력카드사 확대 (23년 7월~)
현재 신한, 하나, 우리, 로카, 티머니, DGB의 카드로 가입이 가능했으나 국민, 농협, BC, 삼성, 현대 등 5개 신규카드사를 추가 모집하여 이용자의 선택지를 확대하였습니다.
오늘은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https://www.alcard.kr)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물가들이 많이 오르고 있는 상황에 대중교통 인상 이야기도 있어서 알뜰교통카드를 찾는 분들이 많아질 것 같습니다. 아직 발금 전이신 분들은 발급받으셔서 대중교통비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경제 및 재테크 > 정책지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경기도 청년지원금 청년기본소득 신청방법 (16) | 2023.03.13 |
---|---|
2023년 자영업자 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 안내 (8) | 2023.03.06 |
무주택 청년월세지원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8) | 2023.02.23 |
2023년 기초연금 변경내용 : 수급자격 및 신청방법 (10) | 2023.02.20 |
장병내일준비적금 (군적금) 신청, 해지 및 수령방법 정리 (6) | 2023.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