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부터 군인월급이 인상되어 병장의 경우 월급 100만 원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군 장병의 자산형성을 돕는 군적금인 장병내일준비적금의 프로그램도 더욱 강화되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2023년 군인월급의 인상내용과 장병내일준비적금의 신청부터 만기해지, 수령방법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군인 월급 인상 소식
병역의무 이행에 대한 합당한 보상과 예우를 위해 사병 봉급이 병장기준 10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또한 사회진출 지원금까지 합치면 병장 기준 월 최대 13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국방부는 2025년까지 병장 기준 병 봉급을 월 150만 원까지 인상할 예정이며, 병 봉급과 자산형성 프로그램을 결합해 2025년까지 205만 원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소개
장병의 합리적 저축습관 형성과 전역 후 목돈마련을 위해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한 정부지원비율을 33%에서 71%로 38%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혜택이 더욱 강화되는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장병내일준비적금이란?
장병내일준비적금은 군대를 간 군인들이 시중은행의 장병내일준비적금 상품을 가입하면 개인납입금과 정부지원 그리고 은행 이율우대등의 조건으로 만기 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2. 가입대상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현역병,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해양의무경찰, 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등이 가입가능합니다.
- 상품 신규일 기준으로 남은 의무복무기간이 6개월 이상
- 가입대상임을 증빙하는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 제출
3. 계약기간
계약기간은 최소 6개월 이상 최대 24개월 이내로 계약 가능하며, 만기일은 가입시점에 제출한 자격확인서에 기재된 전역예정일로 합니다.
4. 가입한도
가입한도는 은행별 최소 월 천 원 이상 월 20만 원 이하입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판매은행의 한도를 합산하여 매월 40만 원까지 적립가능합니다.
5. 가입혜택 (정부지원)
병역의무이행자가 전역(소집해제)으로 만기해제 시 지원하며 1% 이자지원금과 '22년 1월부터 납입한 원리금의 연도별 매칭비율(’ 22년 33%, ’ 23년 71%)에 따라 해당하는 금액(매칭지원금)을 추가 지원합니다. 만약 육군 복무기간 18개월 동안 월 40만 원을 납입할 경우 총 1,289만 원의 자산형성이 가능합니다.
매칭지원금은 만기해지 시 개인계좌로 입금되는데 최대 3개월이 소요됩니다. 전역월에는 장병내일준비적금이 급여에서 중앙공제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전역일 전까지 개인이 직접 은행에 적금액을 납입해야 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 해지, 수령방법
1. 신청 방법 (가입방법)
장병내일 준비적금의 가입은 가입대상에 해당하는 자가 해당 소속부대, 병무청 등에서 가입자격 확인서를 발급받아 신병교육기관 및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 훈련소 등 신병교육기관 : 협약은행에서 부대를 방문하여 가입절차 진행
- 일반부대 : 병사들이 휴가 등 출타 시 가입자격확인서 지참, 은행에서 가입
대리인(가족)을 통한 대리가입 시 증빙서류 : 신분증(병사 및 대리인), 가족관계 확인서, 가입자격 확인서를 지참하여 은행에서 가입가능 합니다. 온라인 가입은 나라사랑포털을 통해 일부 은행이 시행 중이며 계속 확대 예정입니다.
2. 해지 방법
장병내일 준비적금의 해지는 적금만기 시에 가능하며 신분증과 전역일이 명기된 확인서 (전역증, 병역증, 병적증명서, 대체복무요원 복무사실 확인서)를 지참하여 은행에서 적립금액, 이자, 1% 이자금액 지원금 수령, 3:1 매칭지원금 지급신청을 하면 됩니다.
은행 별 금리비교 (23.2.17 기준)
23년 2월 17일 기준으로 각 은행의 장병내일준비적금의 금리는 아래와 같습니다. 금리는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오늘은 장병 월급인상소식과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많은 군인장병들이 강화된 군적금 프로그램을 통해 전역 후 사회진출을 미리미리 준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및 재테크 > 정책지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주택 청년월세지원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8) | 2023.02.23 |
---|---|
2023년 기초연금 변경내용 : 수급자격 및 신청방법 (10) | 2023.02.20 |
난방비 지원 확인과 신청 : 보조금24 (20) | 2023.02.16 |
청년내일채움공제 2023년 변경사항, 가입방법 (11) | 2023.02.11 |
국민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사용처, 사용법 정리 (15) | 2023.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