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정부의 '청년희망적금'을 개선한 장기적립식 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 2023년 출시됩니다. 현 정부의 청년지원사업으로 2023년 금융위원회 예산 중 가장 높은 금액인 3,600여 억 원이 책정된 청년도약계좌의 조건, 이자 및 신청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기존 청년희망적금을 개선한 청년층 지원 정책으로,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사업입니다.
2023년 기준 편성금액은 3,527원으로 운영되며, 나이-소득-가구소득등 자격요건을 충족한 청년층에 한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체 청년층의 약 30%인 약 1,000만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신청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나이 만 19세~34세 청년층(군 복무기간 제외),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 개인소득은 6,000만 원 이하인 기준을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2년 기준 가구원 소득기준인 180% 금액 아래와 같습니다. 신청기간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이고, 기존 청년희망적금의 예를 보면 계좌신청은 각 은행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
청년도약계좌는 5년(만기) 동안 월 40만~70만원을 납입하면 시중은행 5년 만기 적금 금리에 가산금리를 추가해 이자를 얹어줍니다. 여기에 정부가 별도 기여금을 3~6% 추가 지원해 주게 되는데 소득에 따라 차등지원하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해 주는 기여금은 가입자 소득과 납입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차등지원 기준과 금리 수준, 정부가 별도의 기여금 6%를 넣어주는 방식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세부 시행사항은 향후 국회 예산안 심의를 거쳐 내년 예산안이 확정되는 대로 금융권 협의 등을 거쳐 확정·발표한다는 게 금융위 계획입니다.
금융위가 제시한 월 납입액(70만원)과 정부지원을 최대(6%)로 받는다고 하면 금리 연 3.5%(단리, 기존 대선 공약 기준), 5년 만기 월 70만 원을 납입할 때 시중은행 적금보다 정부가 약 252만 원 더 지원해 주는 셈입니다. 60개월 납입 원금 4200만 원에 비과세 이자 373만 원까지 더하면 5년에 거의 5000만 원에 가까운 돈을 모으게 되는 것입니다..
2023년 새롭게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봤으면 좋겠습니다. 올해 6월에 정식으로 출시된다고 하니, 자세한 사항이 나오면 다시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
'경제 및 재테크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조회 및 현금화 (12) | 2023.01.23 |
---|---|
저축은행 재무 건전성 확인방법 BIS비율 (27) | 2023.01.20 |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 제도 (0) | 2023.01.11 |
퇴직연금 제도 장점, 종류 (DB, DC, IRP) (1) | 2023.01.10 |
연금저축펀드 장점 단점 정리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