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다우지수나 나스닥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조금 구체적으로 확인을 해보기 위해 오늘은 미국 주식의 거래소와 3대 지수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미국 주식 거래소
1. 뉴욕증권거래소(NYSE)
뉴욕증권거래소는 1792년에 설립되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거래되는 주식의 시가총액은 미국 내 주식가치의 80% 정도 됩니다. 다우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 지수 등 세계 증시의 주요 지표가 되는 지수들이 뉴욕증권거래소를 통해 산출됩니다. 뉴욕증권거래소는 회원들만 주식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비영리 회원제로 운영되며 또한 정원제로 운영됩니다. 이 때문에 신규 회원이 되려면 기존 회원에게서 회원권을 양도받아야 하며 회원 수는 1953년 이후부터 1366명으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2. 나스닥(Nasdaq)
나스닥은 뉴욕 월가에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증권거래소 중 하나입니다. 1971년에 창립되었고, 장외시장으로 시작해서 무섭게 성장하여 장내시장으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1971년 설립당시부터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거래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원래는 스타트업 회사들로 시작되었는데, 지금은 애플, 테슬라, 구글등 기술주들이 모여있는 곳이 되었습니다.
3. 아멕스AMEX
1911년 장외거래소로 설립되어 1953년 아메리카 증권거래소(AMEX)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2008년 금융위기 시절 뉴욕증권거래소는 AMEX를 인수한 후 이름을 NYSE AMEX Equities로 바꾸고 2017년에 NYSE American으로 변경됩니다. 아멕스는 주로 ETF 및 옵션거래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국 3대 지수
1. 다우존스
미국 다우존스사에서 발표하는 지수를 말하며, 정식 명칭은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Index이며 줄여서 다우지수 혹은 다우존스지수라 부릅니다. 다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경제전반에 걸친 30 개 대형 기업들의 주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수는 단순가격평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의 대표 경제신문인 Wall Street Journal에서 집계하며 편입과 제외 등을 관리합니다. 다우지수는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미국주식시장 전반에 대한 상황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편입기업으로는 3M, IBM, 골드만삭스, 나이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등이 있습니다.
2. S&P500
1957 년에 도입된 S&P 500 지수는 Standard & Poor's 500의 약자로 현재 다우존스 지수와 함께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주가지수로 세계적인 신용평가 회사인 Standard & Poor’s 가 집계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의 규모, 유동성, 산업그룹 내의 대표성 등이 반영되어 선정된 500 개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S&P500은 단수평균 방식인 Dow 지수와는 달리 우리나라 KOSPI 지수와 동일한 시가총액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전체의 동향파악이 Dow 지수보다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나스닥
나스닥 종합지수는 나스닥 증권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5,000 개 가량의 보통주를 가중평균 하여 나타낸 지수로서 다른 주가지수에 비해 광범위한 편입이다. 나스닥 종합지수에 포함된 모든 주식들은 기업의 주요 수입원을 기준으로 미국표준산업분류에 따라 결정된 8 개의 나스닥 부문지수로 나누어집니다. 또한 나스닥시장을 대표하는 지수로서 나스닥 100 지수가 있습니다. 이는 나스닥시장에 등록되어 있는 비금융권 업체들 중 가장 규모가 큰 100 개의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주식에서 가장기본적인 거래소와 3대 지수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차근차근 공부해 가면서 시장을 보는 안목을 키워가야겠습니다.
'경제 및 재테크 >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양도세) 절세방법 (12) | 2023.02.01 |
---|---|
미국 주식 세금 정리 (양도세, 배당세) (19) | 2023.01.25 |
2023 미국주식 휴장일 거래시간 정리 (2) | 2023.01.18 |
미국 주식 ETF 수익률 비교하기 (0) | 2023.01.16 |
미국 배당성장 ETF SCHD, DGRO, VIG 소개 (0) | 2023.01.15 |
댓글